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객체지향언어
- jpa
- 기술면접
- 개발자면접
- 알고리즘
- lock
- 자바8
- 자바
- 데이터베이스
- 스트림
- 운영체제
- 기술면접대비
- equals
- java
- 자바면접
- Spring
- Application
- 면접준비
- 배타락
- DB
- http
- 개발자기술면접
- 백엔드면접
- 스프링
- 백엔드
- hashcode
- 공유락
- 자바기술면접
- 네트워크
- stream
- Today
- Total
목록면접대비 (9)
서은파파의 추월차선
동기 방식으로 외부 서비스를 호출할 때 외부 서비스 장애가 나면 어떻게 조치할 수 있나요? 외부 서비스 장애로 인해 응답이 오래 걸린다고 했을 때 외부 API 응답으로 대기하는 자원들이 운영 서버 내부에 쌓이면서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타임아웃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크게 타임아웃에는 커넥션 타임아웃과 리드 타임아웃, HTTP 커넥션 풀 타임아웃을 설정해 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특정 서비스의 장애가 전체 서비스에 영향을 주는 경우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1. A 서비스, B 서비스, C 서비스 연동 코드가 HTTP 커넥션 풀을 공유한다.2. A 서비스의 장애로 응답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경우 2-1. 풀에 남은 커넥션이 점점 줄어..
동일성과 동등성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동일성과 동등성은 객체를 비교할 때 중요한 개념입니다. 자바에서는 이 두 개념을 equals() 메서드와 == 연산자를 통해 구분할 수 있습니다.equals()와 ==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equals()는 객체의 내용을 비교하는 반면, ==는 객체의 참조(레퍼런스)를 비교합니다. 따라서 두 객체의 내용이 같더라도 서로 다른 객체라면 equals()는 true를 반환할 수 있지만, ==는 false를 반환합니다. 동등성(Equality)은 뭔가요? 동등성은 논리적으로 객체의 내용이 같은지를 비교하는 개념입니다. 자바에서는 equals() 메서드를 사용하여 객체의 동등성을 비교합니다. Apple 클래스를 예시로 보면, Object.equals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하여 ..
equals와 hashCode는 왜 함께 재정의해야 할까요? equals와 hashCode 메서드는 객체의 동등성 비교와 해시값 생성을 위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함께 재정의하지 않는다면 예상치 못한 결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가령, 해시값을 사용하는 자료구조(HashSet, HashMap..)을 사용할 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subscribes = new HashSet(List.of(subscribe1, subscribe2)); // 결과는 1개여야하는데..? 2개가 나온다. System.out.println(subscribes.size()); } class Subscribe { private final String email; ..
로그와 메트릭을 설명해주세요. 로그는 서버가 동작할 때 서버의 상태와 동작 정보를 시간 경과에 따라 기록된 결과입니다. 로그는 시스템의 오류와 문제들을 쉽게 찾아낼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반면, 메트릭은 시스템의 성능과 상태에 대한 통계적인 정보를 의미합니다. 메트릭을 잘 수집하면 시스템의 현재 상태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고, 사업 현황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가령, 메트릭은 DAU, Retension,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등이 있습니다. 로그와 메트릭을 수집해 보신 적이 있나요? 🤔아래부터는 예시로 생각해주세요! 각자 진행하신 프로젝트 상황에 맞는 답변을 생각해 주세요. 😀스프링 부트 액추에이터를 사용해 메트릭을 생성하고 프로메테우스에 저장한 다음 그라파나로 시각화한 ..
JVM의 구조와 동작 원리JVM은 Java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가상 머신으로, OS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바이트코드(Bytecode)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1. JVM의 주요 구성 요소JVM은 크게 다음과 같은 주요 컴포넌트들로 구성됩니다.Class Loader.class 파일을 로드하고, 메모리에 적재하는 역할로딩(Loading) → 링크(Linking) → 초기화(Initialization) 단계로 진행Lazy Loading 방식으로 필요할 때 클래스를 로드부모-자식 계층 구조를 가지며, Bootstrap ClassLoader → Extension ClassLoader → Application ClassLoader 순으로 동작Runtime Data Area (메모리 구조)JVM의..
기술면접질문지Java 기술면접 질문 (30개)JVM의 구조와 동작 원리에 대해 설명해주세요.Java의 메모리 영역(Memory Area)에 대해 설명해주세요.Garbage Collection의 동작 방식과 종류에 대해 설명해주세요.Java의 접근 제어자(Access Modifier)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해주세요.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4가지 특징에 대해 설명해주세요.추상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오버로딩(Overloading)과 오버라이딩(Overriding)의 차이점을 설명해주세요.String, StringBuilder, StringBuffer의 차이점을 설명해주세요.Java의 제네릭(Generic)은 무엇이며, 왜 사용하나요?Collection Framework에 대해 설명하고 주요 인..
세 번째 면접 정리본은 데이터베이스로 준비해 봤습니다. 이번 글도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Q. RDBMS와 NoSQL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RDBMS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테이블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SQL을 사용해 데이터를 관리합니다. NoSQL은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문서, 키-값, 그래프 등 다양한 데이터 모델을 지원합니다. RDBMS는 ACID 트랜잭션을 보장하지만, NoSQL은 스키마가 유연하고 확장성이 뛰어나 빠르게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Q. SQL의 조인에는 어떤 종류가 있고 그 조인들에 대해 각각 설명해주세요. SQL JOIN에는 INNER JOIN, LEFT OUTER JOIN, RIGHT OUTER JOIN, FULL OUTER JOIN,..
자바 기술 면접 대비 두 번째 정리본입니다. 수정해야할 사항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Q. 자바에서 SOLID 원칙이란 무엇이며, 각 원칙을 간단히 설명해주세요.SOLID 원칙은 객체지향 설계에서 유지보수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5가지 원칙입니다.SRP (단일책임원칙) : 객체는 단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하며, 변경 사유가 하나여야 합니다.OCP (개방폐쇄원칙) : 확장에는 열려 있고,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합니다.LSP (리스코프치환원칙) : 자식 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어야 합니다.ISP (인터페이스분리원칙) : 클라이언트에 필요한 기능만을 인터페이스로 제공해야 합니다.DIP (의존관계역전원칙) : 의존관계는 구체적인 구현이 아닌 추상화(인터페이스)에 의존해야 합니다.Q. SRP..
대학생부터 회사원까지 모두의 성공적인 취업과 이직을 위해 기술 면접 자료를 천천히 정리하고자 합니다.수정해야할 정보가 있다면 댓글로 정보를 나눠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모두 취뽀하세요!! Q. Java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의 4대 특징은 무엇인가요? 4대 특징으로는 추상화, 캡슐화, 상속, 다형성입니다.추상화 : 객체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특성을 뽑아내어 정의하는 것캡슐화 : 객체의 속성과 메서드를 하나로 묶고,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지 못하고 함수를 통해서만 접근하게 함상속 : 상위클래스가 가지는 속성과 메서드를 하위클래스가 물려받는 것다형성 : 같은 메서드가 상황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 Q. 자바에서 final 키워드는 어떻게 사용되나요? final 키워드는 변수, 메서드, 클래스..